무한 비판적 합리성과 반성적 합리성/SPAN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04 06:09
본문
Download : 무한 비판적 합리성과 반성적 합리성SPAN.hwp
합리적인 사람이란 정당화된 것만을 선택하고 정당화되지 않은 것은 거부하는 사람이다. 또 선험화용론적 정당화 역시 뮌희하우젠-트릴레마의 세번째 뿔에 찔려서 좌초할 수 없다는 주장을 전개하였다. 정당화되지도 않은 것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. 정당화로서의 합리성 槪念을 제시하는 쪽으로는 경험-귀납적 정당화나 논리-연역적 정당화를 주장하는 전통 철학과 반성적 정당화를 주장하는 선험화용론(Transzendentalpragmatik)을 내세웠고, 비판으로서의 합리성 槪念을 제시하는 쪽으로는 비판적 합리주의(kritischer Rationalismus)를 들었다.... , 무한 비판적 합리성과 반성적 합리성/SPAN인문사회레포트 ,
다. 그러나 과학철학내지 인식론에서 논의되는 합리성의 의미는 대체로, theory 또는 주장의 선택(수용)에 대한 결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에 어긋남이 없음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.
이러한 기준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 정당화(justification)이다. 여기에서 강조되는 점은 선험화용론의 반성적 정당화는 결국 전통철학의 명증론(Evide…(drop)
,인문사회,레포트
Download : 무한 비판적 합리성과 반성적 합리성SPAN.hwp( 35 )
무한 비판적 합리성과 반성적 합리성/SPAN
순서
설명






합리성이라는 개념만큼 그 내포가 복잡하고 외연이 넓은 개념도 드물다.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것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사람이 아니라, 어떠한 도그마도 인정하지 않으며, 어떠한 권위에도 비판을 가하는 사람이다. 또 다른 기준은 비판가능성(반증가능성)이다. 그러나 합리성을 이성에 적합함으로 定義(정의)하고 보면, 그것이 당연하기도 하다.
레포트/인문사회
합리성이라는 concept(개념)만큼 그 내포가 복잡하고 외연이 넓은 concept(개념)도 드물다. 그러나 합리성을 이성에 적합함으로 定義(정이)하고 보면, 그것이 당연하기도 하다....
합리성이라는 槪念만큼 그 내포가 복잡하고 외연이 넓은 槪念도 드물다. 경험-귀납적 정당화는 귀납의 원리의 논리적 어려움과 경험의 theory 의존성 때문에 그리고 논리-연역적 정당화는 뮌희하우젠-트릴레마 (Münchhausen-Trilemma) 때문에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논증하였다. 그러나 합리성을 이성에 적합함으로 정의하고 보면, 그것이 당연하기도 하다. 이성에의 관심은 철학의 역사(歷史)만큼이나 오래 된 것이고, 따라서 수 많은 선철(先哲)들이 이성의 본질과 기능을 연구·규명하였을 것이므로 합리성의 의미도 그만큼 복잡다기(複雜多岐)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.
본 논문은 합리성을 정당화에서 찾으려는 철학적 입장에 대해 그것을 비판에서 찾으려는 입장을 옹호하려는 작은 시도이다.